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좋아

JEPI vs JEPQ 전격 비교: 월배당 ETF 끝판왕? 과거 수익률, 배당, 전망 총정리

by 피클러 2025. 4. 23.

JEPI와 JEPQ 매월 배당투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투자자분들, 특히 매달 꾸준한 현금 흐름을 원하는 분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월배당 ETF, JEPI JEPQ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두 ETF 모두 높은 배당률과 월배당이라는 매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투자 전략과 대상 자산에서 차이가 있어 투자 결정 전에 꼼꼼히 비교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나에게 더 맞는 ETF는 무엇일지, 과거 성과는 어땠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란?

    • 운용사: J.P. Morgan Asset Management
    • 기초 지수(성격): S&P 500 지수 기반
    • 투자 전략:
      • 미국 대형주(주로 S&P 500 내 저변동성 주식)에 투자하여 주가 상승을 추구합니다.
      • 동시에 커버드 콜(Covered Call) 전략과 **ELN(Equity-Linked Notes)**을 활용하여 매달 프리미엄(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배당 재원으로 활용합니다.
    • 목표: 주가 상승 + 높은 월배당금 지급을 통한 꾸준한 인컴(Income) 창출,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 추구
    • 특징: 미국 시장 전반을 대표하는 S&P 500 기반으로 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대형 가치주 또는 배당주 비중이 높습니다.
  • 연간 수익률: 2021년: +21.5%, 2022년: -3.5%, 2023년: +9.8%, 2024년: +12.6%

 

2. JEPQ (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 란?

    • 운용사: J.P. Morgan Asset Management
    • 기초 지수(성격): Nasdaq 100 지수 기반
    • 투자 전략:
      • 미국 대형 기술주 중심(Nasdaq 100 내 주식)에 투자하여 주가 상승을 추구합니다.
      • JEPI와 마찬가지로 커버드 콜(Covered Call) 전략과 **ELN(Equity-Linked Notes)**을 활용하여 월배당 재원을 마련합니다.
    • 목표: 주가 상승 + 높은 월배당금 지급 (JEPI와 유사하나, 기초 자산이 다름)
    • 특징: 기술주 중심의 Nasdaq 100 지수를 기반으로 하므로, JEPI 대비 성장주 비중이 높고 변동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 연간 수익률: 2023년: +36.2%, 2024년: +24.9%, 2025년 YTD: -11.1%

 

3. JEPI vs JEPQ 핵심 차이점

구분 JEPI JEPQ
기초 자산 S&P 500 (미국 대형주 전반) Nasdaq 100 (미국 대형 기술주 중심)
주요 섹터 금융,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등 다양 기술주(IT)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변동성 상대적으로 낮음 (JEPQ 대비) 상대적으로 높음 (JEPI 대비)
상장일 2020년 5월 2022년 5월
성격 시장 전반 + 인컴 추구 기술 성장주 + 인컴 추구

가장 큰 차이는 투자 대상입니다. 안정적인 시장 대표 기업에 투자하며 인컴을 얻고 싶다면 JEPI, 기술주의 성장성과 함께 높은 인컴을 추구한다면 JEPQ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4. 과거 수익률 및 배당 (적립식 투자 가정)

적립식 투자는 매수 시점과 금액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개인별 수익률을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통해 대략적인 성과 추세를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주의: 과거 수익률이 미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수익률 (Total Return = 주가 상승 + 배당 재투자 기준):
    • JEPI: 2020년 5월 상장 이후, 시장 상황에 따라 등락을 보였습니다. 주가 상승기에는 S&P 500 지수(SPY 등) 상승률에는 못 미치는 경향이 있지만, 하락기에는 커버드콜 프리미엄 덕분에 상대적으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연평균 토탈 리턴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연 5% ~ 10% 내외 수준을 기록한 해들이 있습니다. (특정 연도는 더 높거나 낮을 수 있음)
    • JEPQ: 2022년 5월 상장으로 JEPI보다 과거 데이터가 짧습니다. 상장 이후 기술주 중심의 Nasdaq 100 지수가 크게 변동하면서 JEPQ의 주가 및 수익률 변동성도 JEPI보다 컸습니다. 기술주 상승기에는 JEPI보다 높은 토탈 리턴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하락기에는 낙폭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가 짧아 연평균 수익률을 단정하기는 이르지만, Nasdaq 100의 움직임과 연동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배당:
    • JEPI & JEPQ 공통: 두 ETF 모두 매월 배당을 지급하며, **연평균 배당수익률(분배율)**은 일반적으로 7% ~ 12% 사이의 높은 수준을 보여왔습니다. (이는 매년, 매월 시장 변동성 및 커버드콜 전략 성과에 따라 변동합니다.)
    • 변동성: 커버드콜 전략은 시장 변동성이 클 때 프리미엄 수익이 높아져 배당금이 늘어날 수 있지만, 반대로 변동성이 낮으면 배당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매월 받는 배당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배당 성격: 지급되는 분배금에는 이자, 배당소득 외에 '자본 반환(Return of Capital, ROC)'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ROC는 세금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투자 원금을 돌려받는 개념이므로 장기적으로는 주가(NAV) 하락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적립식 투자 관점: 매달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했다면, 주가 등락에 따라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효과(코스트 에버리징)를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특히 높은 월배당금을 재투자했다면 복리 효과를 통해 총 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 자체가 하락하는 구간에서는 원금 손실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주식은 시점이 중요하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매월 일정 금액을 넣는 적립식 투자를 하면, 시장이 오를 때도, 내릴 때도 평균적으로 가격을 낮추며 투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2024년 동안 JEPI나 JEPQ에 매월 10만 원씩 투자했다면,

  • JEPI는 주가 자체보다도 배당 수익을 통해 꾸준한 수익 누적이 가능했을 것이고,
  • JEPQ는 주가 상승 + 배당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 총 자산이 빠르게 불어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2025년 현재는 조정 중이므로, 장기 시야가 꼭 필요합니다.

 

5. 앞으로의 전망 및 고려사항

  • 시장 변동성: JEPI와 JEPQ의 핵심 수익원 중 하나인 커버드콜 프리미엄은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변동성은 높은 배당금 유지에 긍정적일 수 있지만, 변동성이 너무 낮거나 예측 불가능하게 급변하는 장세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 금리: 고금리 환경은 예금이나 채권 등 안전자산의 매력을 높여 상대적으로 JEPI, JEPQ 같은 주식형 인컴 상품의 매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반면, 향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 배당 매력이 다시 부각될 수 있습니다.
  • 기초 자산(S&P 500 vs Nasdaq 100) 전망:
    • 미국 경제 및 시장 전반의 안정적 성장을 예상한다면 JEPI가 꾸준한 성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 기술 혁신 주도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면 JEPQ의 성장 잠재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다만, 기술주 특유의 높은 변동성은 감수해야 합니다.
  • 커버드콜 전략의 한계: 이 전략은 주가 상승폭이 일정 수준으로 제한(Capped Upside)됩니다. 즉, 기초 지수가 급등하는 강세장에서는 지수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락장에서는 프리미엄 수취로 손실을 일부 방어할 수 있지만, 하락폭이 크면 원금 손실은 불가피합니다.
  • ELN 관련 위험: ELN은 장외파생상품으로, 발행기관의 신용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J.P. Morgan이 운용하므로 이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됩니다.)

6. 결론: 나에게 맞는 ETF는?

  • JEPI 추천 대상:
    • 매월 꾸준한 현금 흐름(월배당)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자
    • 미국 시장 전반에 투자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인컴을 추구하는 투자자
    • 기술주보다는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
    • 주가 상승은 다소 제한되더라도 변동성을 낮추고 싶은 투자자
  • JEPQ 추천 대상:
    • 매월 높은 배당과 함께 기술주의 성장성에도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
    • Nasdaq 100 지수의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믿는 투자자
    • JEPI보다 높은 변동성을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

최종 고려사항:

  • 두 ETF 모두 **'인컴 창출'**에 강점을 둔 상품이지, '최대 수익 추구' 상품은 아닙니다. 강세장에서는 시장 대표 지수 ETF(SPY, QQQ 등)보다 성과가 낮을 수 있습니다.
  • 높은 배당률만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자신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성향, 향후 시장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편입하여 인컴 보강 및 변동성 관리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결정은 항상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상품에 대한 투자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