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경제관련 중요기사 하나를 스크랩해서 경제흐름을 파악해 보는 공부를 하는 중입니다.
기사제목 : 한은, 6 연속 기준금리 동결
1단계: 핵심내용 구조화
what :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열려 있고,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19일 기준금리를 또다시 3.50%로 동결했다. 올해 2월, 4월, 5월, 7월, 8월에 이은 여섯 차례 연속 동결이다
why : -불안한 경기가 금리 결정을 묶어뒀다.
-12개월째 수출이 뒷걸음치고 있고 무역수지는 수입은 줄어들어 생긴 불황형 흑자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 역시 빠른 속도로 늘고 있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하면 원금과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고 연체율이 증가해 금융불안을 키울 수 있다.
-가게부채가 많고 다중채무자도 400만 명이 넘기 때문에 금리인상이 가져오는 금융불안이 크다.
how : 이번 기준금리 동결로 미국과의 금릭 격차는 사상최대폭인 2%이다.
6연속 동결에 나섰지만, 여전히 긴축의 고삐를 늦추지 않은 ‘매파적 동결’이다.
미국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완전히 걷히지 않은 상태이고 국내 경기 불안도 이어지고 있어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한은 입장이다.
국내 경기의 미약한 회복세와 환율 등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한은이 현재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를
주기는 어려워 보인다.
2단계: 모르는 용어 정리
긴축 : 물가 안정을 위해 시장에 풀리는 돈의 유입을 줄인다는 개념.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인상.
보통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 현금의 가치가 낮아져서 인플레이션이 심할 경우 시행된다.
3단계: 질문
--> 왜 한국은행은 미국과의 기준금리차이가 2%나 나는데 금리를 올리지 않을까?
우리 나라는 부동산 관련 가계부채와 건설 PF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높다.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발생할 금융불안으로 기준금리를 쉽게 올릴 수가 없다. 그러나 미국과의 금리차로 환율이 오르기 시작하여 여러 가지 경제불안이 더 커져가고 있다. 기준금리는 동결이지만 대출금리는 세계적 금리인상을 따라 올라가고 있다. 한국은행의 적정 수준의 금리인상을 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문제들은 결국 국민에게 타격을 준다.
4단계: 투자에 적용해야 할 점.
요즘 주식시장등 금융시장은 계속 하락 하고 있다. 4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도 기대할 바가 좋지 않을 듯하다. 달러투자 관련 금융 상품에 대해 공부해야겠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달 이자주는 국내 월배당 ETF 해외투자편-분배금현황 총보수 자산포함 (1) | 2023.10.23 |
---|---|
매달이자주는 국내월배당ETF 리스트와 배당수익률, 수수료 안내(국내투자) (2) | 2023.10.20 |
방산수출 청신호! 한국수출입은행 법정 자본금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1) | 2023.10.18 |
재테크의 시작은 '절세' 필수 절세통장 ISA계좌를 만들자! (0) | 2023.09.08 |
국내채권 증권사별 수수료를 비교해 보자 (0) | 2023.09.04 |
댓글